
사랑하는 이를 자연의 품에 안겨드리고자 수목장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수도권 지역은 접근성과 편의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선택의 폭이 넓어 고민이 깊어질 수 있습니다. 이 번 글에서는 서울 근교 수목장의 위치, 대중교통 및 자가용 접근성, 그리고 비용 차이에 대해 상세히 비교하여 현명한 선택을 돕고자 합니다.
수목장을 결정 한 이후에는 가족과의 거리,지출 비용과,유지 비용 등이 꼭 고려되야 하기 때문에 설명을 잘 보시고 꼭 상담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서울 근교
서울 근교에는 다양한 수목장 시설이 위치하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경기도 용인, 광주, 파주, 양평, 고양, 하남 등 서울과 인접한 지역에 여러 수목장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용인 평온의 숲은 용인시에 위치하며, 분당메모리얼파크(시안 추모공원)는 경기도 광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파주 용미리 서울시립묘지 내에도 수목장 묘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고양시 일산동구에는 자연애숲수목장과 같은 시설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양평 지역에는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수목장이 많아 자연 친화적인 안치를 선호하는 분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이러한 수목장들은 서울 도심에서 차량으로 약 30분에서 1시간 30분 내외의 거리에 위치하여, 성묘객들이 비교적 쉽게 방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수목장마다 고유한 분위기와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직접 방문하여 답사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수목장은 숲속 정원 같은 분위기를 자랑하며, 다른 곳은 탁 트인 조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지리적 다양성은 유가족의 취향과 고인의 생전 모습을 고려하여 최적의 장소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접근성
수목장을 선택할 때 접근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명절이나 기념일에 자주 방문할 계획이라면 대중교통 및 자가용 접근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서울 근교의 많은 수목장은 주요 고속도로 IC와 인접해 있어 자가용 이용 시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용인 지역의 수목장들은 영동고속도로 양지IC나 용인IC에서 10분 이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남 에덴낙원과 같은 시설은 구리, 하남, 서울 동부권에서 접근하기 용이하며, 파주 용미리 수목장은 서울 북부권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시에는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장에서 연계되는 셔틀버스 운행 여부, 혹은 택시 이용의 용이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수목장은 대중교통으로도 손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노선버스나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어, 자가용이 없는 유가족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합니다. 서울시립승화원(벽제)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수목장들은 화장 후 바로 이동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은 수목장은 유가족들이 고인을 자주 찾아 뵐 수 있게 하여 추모의 마음을 이어가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따라서 수목장을 답사할 때는 단순히 위치뿐만 아니라, 실제 방문 시 소요되는 시간과 교통편의성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비용 차이
수도권 수목장의 비용은 안치 방식, 수목의 종류, 위치, 관리 형태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개인목, 부부목, 가족목 등 안치하는 위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며, 잔디장이나 공동목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예를 들어, 개인 한 분만 안치하는 잔디장의 경우 100만원에서 300만원 내외의 비용이 발생하며, 나무 한 그루에 타인과 함께 모시는 공동목은 200만원에서 400만원 정도입니다. 나무 한 그루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개인목은 300만원에서 500만원 선이며, 부부목은 수종에 따라 500만원에서 1,000만원 정도입니다. 4위용 또는 8위용 가족목은 1,200만원부터 3,000만원 이상까지 호가하기도 합니다.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용미리 서울시립묘지의 수목장은 일반 시민 50만원, 기초생활수급자와 국가유공자는 25만원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사용 기간이 40년으로 제한되며 현재는 만장인 경우가 많습니다. 사설 수목장은 재단법인에서 운영하여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관리의 안정성과 보안성이 보장됩니다. 또한, 연간 관리비가 별도로 부과되는 곳도 있으므로 초기 분양가 외에 유지 관리 비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수목의 수종(소나무, 단풍나무 등), 추모목의 위치(조망권, 햇빛 등), 그리고 시설의 고급스러움에 따라 가격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예산과 선호도를 명확히 설정한 후 여러 수목장의 가격표를 꼼꼼히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문 상담을 통해 정확한 견적과 추가 비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