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니어도 쉽게 할 수 있는 2024년 OTT 가입법 (OTT, 시니어, 간편설정)

by jein1 2025. 7. 5.
반응형

요즘 TV 대신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드라마, 영화 보는 분들 많으시죠? 이걸 OTT 서비스라고 부릅니다.

“이건 젊은 사람들만 쓰는 거 아냐?” 하실 수 있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어르신들도 아주 쉽게 즐기실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OTT가 뭔지, 어떻게 가입하는지, 그리고 더 편하게 보는 방법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OTT가 뭔가 궁금하시죠?? 어르신 눈높이에 맞게 설명해 드릴게요

OTT는 영어로 ‘Over The Top’이라고 하는데, 인터넷만 있으면 TV 없어도 드라마나 영화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손주가 좋아하는 넷플릭스,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 디즈니플러스, 한국 방송 다시 볼 수 있는 웨이브나 티빙 같은 게 다 OTT입니다.

예전에는 TV 채널에서 시간 맞춰 봐야 했지만, 이제는 보고 싶은 걸, 보고 싶은 시간에, 마음대로 골라서 볼 수 있습니다.

또 요즘 OTT에는 추억의 드라마, 옛날 영화, 자연 다큐 같은 어르신들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도 많아요. 걱정 안 하셔도 되는 게, 요즘 앱(프로그램)들이 글씨도 크고, 한글 메뉴도 잘 되어 있어서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만 있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요.저희 부모님도 과거의 드라마들을 보시면서 아주 즐거워 하신답니다.

OTT 가입하는 방법,처음부터 같이 해봐요.

1. 먼저 준비물부터 볼까요?
-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 이메일 주소 (없으면 가족이 만들어 줄 수 있어요)
- 카드나 계좌번호 (결제용)

여기서 잠깐...스마트TV가 뭔지 모르시는 어르신들 많으시죠?

제가 쉽게 알려 드릴께요. 스마트 TV는 TV 속에 스마트폰이 들어간 것과 비슷해요.
리모컨으로 유튜브,디즈니플러스, 인터넷, 카카오톡 같은 앱도 켤 수 있어요.

 


2. 앱 설치하기
스마트폰을 켜고,
- 안드로이드는 ‘Play스토어’
- 아이폰은 ‘앱스토어’
들어가서 ‘넷플릭스’, ‘웨이브’ 같은 이름을 검색해서 설치 버튼만 누르면 끝이에요.

3. 회원가입
앱을 켜면 이메일과 비밀번호 입력하라고 나와요. 이메일 주소가 없으신 분은 가족이나 자녀에게 Gmail 하나 만들어 달라고 하세요. 이름, 비밀번호 정하고, 결제할 카드 정보를 넣으면 가입 끝입니다.

겁내 하시지 마시고 천천히 해보시면 어렵지 않으실 거예요.

4. 중요한 설정
- 자막 켜기: 듣기 어려운 분들은 꼭 자막 켜두세요.
- 글씨 키우기: 설정에서 글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요.
- 화면 밝기나 소리 크기 조절도 앱 안에서 쉽게 가능해요.

※ 만약 복잡하면? 손주에게 “이거 좀 도와줄래?” 한마디 하시면 5~10분이면 다 끝나요.

이제부터는 더 편하게 즐겨봐요!

가입만 하면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그런데 조금만 더 설정해두면 훨씬 편리해져요.

- 자동 로그인
한 번만 로그인해두면 다음부터는 버튼 한 번만 누르면 바로 실행됩니다. 매번 비밀번호 안 쳐도 돼요.

- 즐겨찾기 기능
마음에 드는 드라마나 영화를 ‘찜’ 표시 해두면 나중에 찾기 쉬워요. 다음에 또 볼 때,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어요.

- 추천 콘텐츠
보고 싶은 장르 몇 개만 골라두면, 그에 맞는 프로그램이 알아서 나옵니다. 예: ‘추억의 드라마’, ‘동물 다큐멘터리’, ‘클래식 영화’

- TV에서도 가능
스마트TV나 리모컨에 OTT 버튼이 있는 경우, TV에서도 바로 시청 가능해요. 리모컨에 마이크가 있는 분은 말로 검색도 가능하니 훨씬 편합니다.

- 데이터 절약
꼭 집에 와이파이 연결 상태에서 보세요. 설정에서 ‘모바일 데이터 안 쓰기’로 바꿔두면 요금 걱정 없어요.

처음엔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만 해보면 생각보다 훨씬 쉽습니다. OTT 서비스는 새로운 취미 생활이자, 가족과 소통하는 좋은 도구입니다. 혼자 하시기 어렵다면 가족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스마트하게 여가 시간을 보내는 첫걸음, 지금 시작해보세요.

반응형